미얀마는 2020년 3월 말 코로나 팬데믹과 정면으로 맞닥뜨렸다.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학교는 즉시 휴교에 들어갔다. 온라인으로 교육의 기회를 계속 누릴 수 있는 특권은 경제적 뒷받침이 가능한 이들에게만 주어졌고, 그렇지 못한 다른 학생들은 대부분 교실에서 쫓겨날 수 밖에 없었다.
내 이름은 유에민(U Aye Min)이며 무슬림이다. 양곤에서 7년 정도 택시를 운전하고 있다. 코로나 기간 동안 승객이 줄어들면서 수입이 절반으로 줄었다. 하지만 차 렌트비와 집세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여전히 가족을 부양해 나가고 있다. 나와 같이 미얀마 출신의 다른 이슬람 교도들은 공직이나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이 소유한 개인 회사에 고위직을 얻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대부분 개인 사업체를 운영한다. 개인 사업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슬람 교도들이 운영하는 기업에 취직해야한다. 코로나가 중소기업의 90%에 영향을 미쳤지만, 대부분의 무슬림들은 큰 문제없이 팬데믹을 헤쳐 나갈 수 있었다. 나와 가까운 승객들이 공유해준 코로나 기간 동안의 경험을 기억나는대로 최대한 전하고자 한다.
단골 손님인 무하마드(Muhammad)씨(44세)는 약국을 운영하는데, 코로나로 인해 바깥에서 친구들과 자유롭게 놀 수 없게 된 두 아들을 위해 뒷마당에 운동장을 만들었다. 현명한 가장인 그는 “이런 때일수록 가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 라고 말했다.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위해 저녁 6시까지 집에 들어가고, 그의 아들들에게 매달 가지고 놀 새 장난감을 사다 준다.
대부분의 무슬림 부모들은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마치기도 전에 학업을 중단시키고 직업훈련이나 돈을 버는 방법을 가르친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이슬람 교도들의 교육 수준이 낮을 수 있지만 이것이 가난으로 귀결되진 않는다. 경제활동을 하면서 코로나 예방과 방역 활동을 위해 기부도 하며,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다. 코로나 기간 동안 모든 사원과 교회가 폐쇄됨에 따라 종교 활동은 가정에서만 허락되어 왔지만, 미얀마 국민들은 다함께 코로나 퇴치를 위해 애쓰고 있다. 낯선 사람들의 출입을 막기 위해 도로 곳곳에 바리케이드가 설치되어 교통은 다소 불편해졌으나 사람들은 서로 돕고 돌보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무하마드(Muhammad)씨는 지혜롭게도 미얀마에서 첫 확진 사례가 발생하기 전부터 중국에서 다른 나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퍼졌다는 소식을 듣고 방역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대량으로 구입해두었다. 2020년 5월 그는 다른 약품들과 함께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판매함으로써 많은 이익을 얻었다. 마스크와 손소독제 가격이 원래 가격보다 15배까지 치솟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마스크 200팩과 손소독제 100개를 친구, 친척, 이웃들과 나누었다. 또한 근처에 있는 코로나 시설과 검역소에 장비와 약품을 기증했다. 그의 아내는 500여 가구에 쌀과 식용유를 기부하고 검역소에서 매일 10명에게 식사를 제공했다.
무하마드(Muhammad)씨를 포함한 일부 이슬람 교도들은 코로나 기간 동안 종교적 차별이 줄어들었다고 느꼈다. “절망속에서 희망의 빛이 드리우네요.” 그는 말했다. “수입이 줄더라도 코로나 대응을 위한 기부와 이웃들 돕기를 계속 해나갈 겁니다. 더 이상 누구도 이런 불행을 겪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무하마드(Muhammad)씨는 얼른 코로나가 끝나 아들과 함께 모스크에서 기도하고, 가족들과 미얀마 북부를 여행할 날이 오기를 고대하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가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어요."